약주·청주
-
-
화전일취18백화
-
-
제조사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지시울
-
주원료
-
규격/도수375ml, 500ml / 18%
-
제품특징
-
-
-
-
면천두견주 360
-
-
제조사면천두견주
-
주원료국내산 찹쌀, 누룩, 진달래꽃
-
규격/도수360ml / 18%
-
제품특징국가무형문화재 86-2호 면천두견주는 고려의 개국공신인 복지겸의 전설과 관련이 있는 술이다. 찹쌀과 두견화라 불리는 진달래꽃을 섞어 빚는 술로 가양주(家釀酒)이며 가향주(加香酒)라고 할 수 있다. 양조 횟수로 분류하면 이양주(二釀酒)이며 밑술 빚는 날로부터 발효와 숙성에 이어 저장에 이르기 까지 100일간이라는 장기공정을 거치는 발효주로 색은 담황색이고 단맛이 돌면서 점성이 있는데 일반 곡주와 달리 신맛과 누룩 냄새가 거의 없고 진달래꽃 향기가 일품이다.
-
-
-
-
대천바다 금빛
-
-
제조사명주도가
-
주원료찹쌀, 밀, 누룩
-
규격/도수300ml / 16%
-
제품특징대천 간척지에서 재배한 찹쌀과 우리 밀 누룩으로 배일 동안의 1차 발효과정을 거치고 오십여일 동안의 2차 발효 숙성시킨 삼양주 기법으로 빚은 전통주이다.
-
-
-
-
조선주조사
-
-
제조사우포의아침
-
주원료쌀, 입국, 누룩, 주정, 정제수
-
규격/도수700ml / 14%
-
제품특징일주일의 발효과정과 20일간의 저온 숙성 과정을 거쳐 탄생한 조선주조사는 곡물의 잡미를 최소화하고 깨끗한 맛을 살립니다.
-
-
-
-
연월주
-
-
제조사술아원
-
주원료쌀(여주산), 누룩, 쌀증류식소주원액, 정제수
-
규격/도수375ml / 20%
-
제품특징청주에 증류주를 섞는 조선시대 과하주를 술아원 양조장 방식으로 재해석한 약주. 쌀의 단맛을 줄이고 산미를 부각한 것이 특징이다.
-
-
-
-
모을동주 약주
-
-
제조사대작영농조합법인
-
주원료쌀(국내산), 조제종국 효모, 정제효소, 정제수
-
규격/도수375ml / 13%
-
제품특징모을동주 약주는 철원군농민회가 주축이되어 설립한 대작영농조합에서 생산한 철원 오대쌀 100%로 빚은 술이다. 찰지고 맛 좋기로 유명한 철원 오대쌀, 그러나 식생활의 변화로 쌀 소비는 줄어들고 귀한 쌀이 팔리지 않는 현실을 극복하고자 농민들이 의기투합하여 철원 오대쌀을 활용하여 부가가치 있는 술을 빚어 판매하기로 한다. 그 두번째 술인 모을동주 약주, 소주 제품이 출시된 후 강원도를 대표하는 또 하나의 술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
-
-
-
방문주 약주
-
-
제조사케이소주
-
주원료국내산 찹쌀, 누룩, 정제수
-
규격/도수500ml / 15%
-
제품특징방문주(方文酒)는 이름 그대로 술 빚는 방법대로 빚은 술 을 뜻한다. 방문주는 주로 봄, 가을철에 빚는 술로 알려져 있는데, 문헌 및 가전비법에 따라 재료의 처리방법이 다양하므로, 술 빚기에 있어 까다로운 면이 없지 않다. 그러나 맛과 향, 알코올 도수의 함량 등에서 단연 특별하다 싶을 정도로 뛰어난 맛과 향취를 자랑한다.
-
-
-
-
담골드
-
-
제조사내올담 양조장
-
주원료500ml
-
규격/도수경기미, 정제수, 우리밀누룩 / 12%
-
제품특징담 골드는 멥쌀로만 빚고, 5주간의 발효 기간과 10주간의 숙성 기간을 거쳐 완성한다. 드라이하면서 깔끔하고 산뜻한 산미가 어우러져 아름다운 균형미를 보여준다.
-
-
-
-
여민락주
-
-
제조사여주육묘영농조합법인
-
주원료국내산 쌀, 누룩, 효모, 정제수
-
규격/도수500ml / 16%
-
제품특징조선시대 임금님께 진상하던 여주쌀과 국산 누룩, 천연 암반수를 사용하고 전통발효기법을 이용하여 100일동안 3번의 숙성과 거르는 작업을 통해 만들어 깔끔한 맛과 향을 가지고 있다. 각종 육류와도 잘 어울리는 달짝지근한 맛이 강한 약주이다.
-
-
-
-
술아 매화주
-
-
제조사술아원
-
주원료찹쌀(여주산),누룩(국내산),정제수,주정,매화꽃
-
규격/도수375ml / 15%
-
제품특징여주햅찹쌀(100%)과 국내산누룩 정제수로 술을빚고 주정으로 주정강화를 한다. 맑은 술만 걸러내어 술에 매화꽃을 띄어 저온에서 장기간 꽃향을 입히며 숙성한다. 일체의 인공감미료 없이 빚어낸 술로써 찹쌀의 단맛을 극대화하여 달고 독한 술로 저온숙성을 통해서 자연스럽게 풍부한 과실향과 꽃향이 만들어져 맛과 향이 뛰어나 매화꽃향이 은은하게 올라온다.
-
-
키워드 사전
가성비
가을
겨울
고문헌
과일류
기념일
꿀
달콤
드라이
매실
명절
무감미료
베리류
봄
삼(蔘)류
선물
소용량
스파클링
여름
연말
예쁜술
이색전통주
저도수
저용량
진한맛
집들이
칵테일
커플
키워드선택
탄산
통밀
파티
혼술
홈술

